2024.12.06 (금)

  • 맑음춘천 2.1℃
  • 맑음서울 2.1℃
  • 맑음인천 2.1℃
  • 맑음수원 3.0℃
  • 구름조금청주 4.1℃
  • 구름많음대전 3.8℃
  • 구름조금안동 5.1℃
  • 맑음대구 6.7℃
  • 흐림전주 5.6℃
  • 맑음울산 8.6℃
  • 구름조금창원 9.1℃
  • 맑음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8.5℃
  • 구름많음목포 9.2℃
  • 맑음홍성(예) 4.8℃
  • 흐림제주 12.1℃
기상청 제공

경기

평택시 "도시는 우리를 닮고, 우리는 도시를 닮는다."

도시(都市)로부터 로시(路詩)를 향해

 

(경인미래신문=민경호 기자) 평택시 문화예술과는 지난 24일 평택 남부문화예술회관 3층 세미나실에서 ‘제19회 평택박물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자리는 문화예술과에서 최근 진행 중인 ‘도시역사아카이브’ 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인식하고 향후 추진 과정에서의 방향과 목적을 정립, 이를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고 전했다.

 

이번 포럼에 초청한 장수아(도시건축연구소 디트라스) 소장은 프랑스 낭떼르에 소재한 파리10대학에서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한 중동지역의 도시·건축·문화유산을 연구했고 프랑스 최고 건축학교인 파리 벨빌 국립건축학교에서 피에르 팔로치(Pierre Louis Faloci) 교수로부터 역사적 맥락에 대한 건축적 개입에 관한 건축 설계를 수학했다고 한다.

 

주요 연구 및 활동 분야는 도시의 역사 정체성 분석, 도시 공간 기획 및 설계, 역사적 맥락을 존중하는 건축과 공간설계 등이다.

 

지난 2017년 평택문화원에서 진행 중인 마을 조사 사업을 통해 평택시와 인연을 맺었다. 이 외에도 서울시, 수원시 등 다수의 지역과 협업해 연구, 기획, 자문 등 다방면에서 활약 중이다.

 

“지금 어디에서 누구와 함께 하는가? 나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도시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던지며 강연을 시작한 그는 도시를 건축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현재 유럽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소개했다.

 

프랑스의 저명한 건축가 앙뚜완 그룸박(Antoine Grumbach)의 ‘도시 위의 도시’란 말을 설명하면서 ‘도시’란 ‘다양한 문화의 결들이 쌓여있는 적층체’임을 강조했다.

 

즉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살아오고 있는 도시는 적게는 수십년, 많게는 수백년 간 사람이 거주하며 남겨진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는 것이다.

 

반면 도시개발 등 발전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흔히 진행 중인 산업단지, 신도시 조성사업 등 과거 마을과 도시의 흔적을 모두 없애고 새롭게 만들어진 도시는 역사적 맥락이 사라져버린 ‘도시 지운 도시’로 표현했다.

 

장소성, 말하자면 개인과 집단의 기억이 새겨져 있는 공간(집, 담장, 길, 나무 등)이 상실됐다는 것이다. 한 저명한 학자는 개발에 대한 전세계적 현상을 두고 이러한 말을 했다고 전한다.

 

“역사는 가속화되고, 비장소성은 증가된다.”

 

"L’histoire s’accélère, les non-lieux se multiplient"

 

도시와 건축의 상관관계는 과연 어느 정도까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폭력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프랑스 철학자 미쉘 푸코(Michel Foucault)의 질문은 역사와 건축, 도시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소통과 대화가 단절된 주거구조, 이웃에 대한 관심을 차단하는 도시구조, 사람이 직접 움직이는 환경보다 자동차의 통행을 우선시하는 사회구조는 ‘사람’보다 사회의 발전, 경제적 이득, 타인에 대한 무관심을 초래했고 결국은 이 환경이 ‘폭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집과 터전, 마을과 도시의 모습을 보면서 과거를 떠올리며 옛 마을을 회상해본 경험이 한번 쯤은 있지 않을까.

 

현재 평택의 도시구조와 역사적 맥락, 남아 있는 마을과 이미 개발되고 없어진 마을을 연구했던 그는 평택에 굉장히 많은 옛 도시가 남아있다고 한다.

 

지금도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고 언젠가는 없어질 것이지만, 지금이라도 조사하고 연구해 역사적 맥락, 즉 장소성이 간직된 ‘도시 위의 도시’로 남아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마치 유럽의 오래된 도시와 같이 옛길을 천천히 걸으며 시나 노래를 읊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장수아 소장이 전한 그의 지향점이다. 도시(都市)로부터 로시(路詩)를 향해.

 

평택박물관 포럼은 매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평택, 평택박물관과 관련된 주제로 자유롭게 대담하는 포럼을 진행 중이다.

 

문화예술과 박물관팀 관계자는 “현재 평택시에서 추진 중인 ‘도시역사아카이브’ 사업은 평택의 역사와 옛 모습을 온전히 규명하고 기억해 평택박물관에 전시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들게 옛 기억을 돌려드리기 위한 역사·문화사업”이라며 “우리가 기억하는 평택의 모습을 시민들이 언제든 박물관을 방문한다면 그 자리에 있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