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미래신문=민경호 기자) 고양특례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해련 의원(정발산동, 중산1·2동, 일산2동)은 제297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준공 1년을 앞둔 성사혁신지구(창조혁신캠퍼스성사)의 대규모 공실 사태와 혈세 낭비 문제를 강하게 질타하고 이동환 시장의 책임 있는 자세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해련 의원은 “성사혁신지구는 대한민국 도시재생 국가시범지구 1호, 원당 구도심 활성화와 고양시 자족도시 기능의 핵심 거점으로 추진된 사업”이라며 “그러나 준공 1년을 앞둔 현재, 고양시의 랜드마크는 대규모 공실 사태로 인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고 개탄했다.
이어 지난 8월 현장 조사 결과, “성사혁신지구 내 산업지원시설 중 7층, 14층, 17층 정도가 절반 정도 공실이 채워졌을 뿐, 나머지 공간은 대부분 여전히 공실 상태였다”고 꼬집었다.
상업시설 역시 1층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일부가 입점했을 뿐, 대부분의 공간이 여전히 공실로 남아있어 자족 기능과 일자리 창출 효과는 미미한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시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준공 후 1년간 세금 보전 총액을 추산한 결과, 이미 집행된 보증금과 임차료, 관리비 등 시 보전 비용은 약 114억 원에 달하며, 연간 유지비 역시 63∼7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김해련 의원은 “공실 사태가 2034년까지 지속된다면 향후 부담액이 700억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어, 시민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성사혁신지구 사업이 공공리츠 구조로 설계돼 있기 때문에, 고양시는 운영 손실을 직접 부담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고 꼬집었다.
김해련 의원은 그동안 시의회에서 행정사무감사와 시정질문을 통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시장 주도로 임차인 유치 전략과 컨설팅 용역을 유보하면서 실기(失期)한 것이 오늘날 대규모 공실사태의 원인이라고 보고 이를 따져 물었으나, 시장은 대부분의 답변을 국장에게 미루며, 상황 파악조차 못 하는 모습을 보여 답답함을 자아냈다.
시장은 용역 유보 책임에 대한 답변은 회피한 채 “코로나19 영향 등(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용역 준공을) 1년 앞당겼다고 해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무책임한 답변으로 일관했다.
이어 카이저공대, 경기북부바이오센터, 아동권리보장원, 이민정책연구원 등 입주 예정 기관조차 유치에 실패한 점, 대부업체, 다단계 등 부적절한 입주업체 선정, 시의회 배제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분명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자족 공간을 늘리는 데 집중할 것이 아니라, 이를 어떻게 채울지에 대한 정책 방향·비전·실천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